김재환 사진
김재환
소속
기독교학부
연락처
02-520-6163
이메일
jkim82@bu.ac.kr
전공
연구실

세부내용

학력사항

한동대학교 상담심리 및 사회복지(복수전공)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MSW(Alcohol and Other Drug Addiction)
한동대학교 심리학 석사
한동대학교 심리학 박사

경력사항

<관련 학회>
現)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중독심리학회 대외협력 이사
現) 한국상담학회 산하 한국중독상담학회 교육수련 이사
現)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중독심리학회 편집위원
現)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편집위원
<전문 영역 경력>
現) 국립부곡병원 운영 자문 위원(약물중독)
現) 법무부 마약치료재활팀 치료 메뉴얼 자문 위원
現) 식약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마약류 예방‧재활교육 전문인력 양성‧인증 자문위원
前)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영남권 재활센터 개인상담 및 집단상담, 수퍼바이저
前) 부산장신대학교 상담및심리치료대학원 대학원장
前)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문화관광부) 대구센터 및 포항센터 팀장
前)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문화관광부) 단기도박상담 매뉴얼 연구 자문위원
前) 대구준법지원센터 마약류 사범 재활 상담사
前) 미국 오하이오 교정국 산하 Community Assessment Treatment Services, 약물 중독 상담사(Intern)
前) Asian Services in Action(미국 오하이오): 아시아계 난민 청소년 학습지원 및 약물중독 예방 담당(Intern)
前) 클리블랜드 중앙침례교회(미국 오하이오): 중독상담사, 청소년 및 가족상담
前) Louise Stroke Veteran Hospital (미국 오하이오): PTSD 및 공존질환 training
前) Center for Evidence based Practice at Case Western Reserve Univ. (미국 오하이오) : CBT & MI training

<자격증>
중독심리전문가, 한국심리학회
전문상담사 1급, 한국상담학회
청소년상담사 1급, 여성가족부
중독 전문가 1급 수퍼바이저, 중독전문가협회
사회복지사 1급, 보건복지부
Chemical Dependency Counselor, Ohio Chemical Dependency Professional Board.

<전문 교육>
법무부 교정 공무원 약물 중독 교육
교육청 산하 상담 교사, 교사, 관련 종사자 교육
한국심리학회 및 한국상담학회 산하 학회 다수 발표
서울시 보건정책과 및 정신건강센터, 중독통합관리지원센터, 마약퇴치운동본부 전문가 교육
교회 목회자, 평신도 대상 정신건강(우울 및 중독), 미디어 사용 부모 교육

연구실적

● 연구분야:
북한 주민 약물 중독, 통합적 중독 메커니즘(약물, 도박, 미디어, 이단)과 회복, 신경과학 및 애착이론, 정신분석(성격과 방어), CBT, 트라우마 통합적 접근. 신앙 발달

<학술지>
● 임원범, 조요한, 김재환(교신)(2025). 학교 밖 청소년의 학교 중단 과정과 꿈드림 이용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학연구.
● Kim, J., & Jun, M.H. (2025), Why are drugs used on a daily basis in North Korea?: A grounded theory approach. Current Psychology(SSCI). Under Review
●Kim, J., Jun, M.H. & Oh, Y.S. Cross-Cultural Validation an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rief Religious Coping Scale.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https://doi.org/10.1007/s10943-024-02044-1 (SSCI, Top 3 in Religious studies(Q1), IF=3.35 in 2years)
● 김재환 (2022). 약물 중독 상담 통합적 이론 사례 개념화 모델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21
● 김재환, 오성은, 장성호 (2022).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한 성인 도박자의 심리적 특성과 문제도박 수준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김재환, 장성호, 신성만 (2022). 도박중독자의 문제도박 수준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기본심리욕구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김재환, 박정아 (2022). 소명과 진로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Super의 진로발달단계를 중심로. 인문사회21
● 김재환 (2021).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자기 통찰적 회개에 대한 고찰과 기독교 상담 및 목회적 돌봄의 역할.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김재환, 박한나, 가요한, 송고은. (2021). 탈북 청년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대인관계능력의 이중매개효과. 통일연구
● 김재환, 가요한 (2020). 애착이론에서 바라본 고난의 행군 세대 북한 청년의 물질사용장애 취약 가능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사회적, 심리적, 신경 생리적 관점으로.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지
● 김재환 (2019). 중독행동의 보상경험과 심리적 기능에 대한 고찰: 말러의 공생적 융합개념과 코헛의 자기심리학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지
● 김재환, 송경, 김지은, 전명희. (2019). 외국인 유학생의 지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포항지역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 김재환, 송고은, 전명희. (2019). 포항지진 경험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상담학 연구
● 김재환 (2019). 메스암페타민 중독 남성의 회복 과정에 관한 생애사 연구: 양자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지
● 전명희, 정숙희, 김경숙, 김재환, 송경 (2019). 탈북 기독교인들의 신앙 여정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연구과제>
● 김재환(책임 연구원), (2024) 마약류 사범 자가 치료 메뉴얼 개발, 법무부
● 김재환(공동 연구원), (2023-2024) MZ세대 약물중독예방교육 개발, 한국연구재단
● 김재환, 김혜린, (2023). 청소년 약물중독 집단상담 매뉴얼,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식약처.
● 김재환(책임연구원), (2018-2021). A Grounded Theory of the Process of Alcohol and Substance Abuse among the Young Adults from North Korea. Global Ph.D. Fellowship, 한국연구재단(교육부 장관 수여)
● 전명희(P.I.), 가요한, 정숙희, 조성봉, 김경숙, 김재환, 송경.(2017-2020). 탈북민 신앙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 전명희, 이지선, 김재환, 외 (2020). 포항시 아동친화도시 연구. 포항시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김재환(2024). 마약류 문제 해결을 위한 예방과 재활의 균형있는 통합적 접근. 토론, 식약처 마약류 예방 재활 정책포럼.
●김재환(2024). 약물중독상담의 이론과 실제. 한국상담심리학회 학술대회.
●Kim, J. et al.,(2020).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Young Adult from North Korea. APA 2020 Division 45, 2020, Washington D.C. Virtual Meeting (poster presentation)
● Kim, J. (2018). Understanding the Life of a Man Recovering from over 30-years-Methamphetamine Abuse: Based on a life history approach. the 7th Global Congress for Qualitative Health Research. Oral Presentation. August, 2018.
●한국상담심리학회, 한국상담학회 포스터 발표 다수

<저서>
●김재환(공저) (2025). 중독상담학개론_상담학총서시리즈. 학지사
●김재환(공저) (2024). 청소년 마약류 중독의 이해와 상담. 학지사

<학위논문>
● 박사학위논문: 북한 주민의 약물 사용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 석사학위논문: 한국판 단축형 종교적 대처척도 신뢰도 및 타당화 연구: Factor Analysis 및 Rasch모형 적용